0주차_웹 기초 이해

9. 서버 사이드 vs 클라이언트 사이드

gyujin77 2024. 9. 8. 13:59

서버 사이드

  •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동적 콘텐츠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작업을 담당한다.
  • 주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.

 

장점

 

1. 동적 콘텐츠 생성

  •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바탕으로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.
  • 사용자 맞춤형 대시보드, 추천 상품

보안성

  • 민감한 정보를 서버에서 처리하므로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.
  • 금융거래

중앙 집중화

  • 데이터와 로직이 서버에서 관리되므로 모든 사용자에게 일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.
  • 재고관리, 사용자 정보 업데이트

확장성

  • 서버 자원을 추가하여 처리 능력을 확장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통해 유연한 자원 관리가 가능하다.
  • 웹 트래픽 증가에 따른 서버 확장

단점

 

서버 부하

  • 모든 요청을 서버에서 처리하므로 서버에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.
  • 대량의 트래픽 발생 시 성능 저하

응답 시간

  • 서버에서 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므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.
  • 복잡한 데이터 처리로 인한 페이지 로딩 지연

비용

  • 서버 유지보수와 관련된 비용이 발생하며 서버 자원의 관리가 필요하다.
  •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 비용

클라이언트 사이드

  • 웹 페이지의 구조와 디자인을 처리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한다.
  • 주로 UI 구성, 스타일링 및 사용자 입력 처리를 포함한다.

 

장점

 

1. 빠른 응답 속도

  •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처리하므로 서버의 부담이 줄어들고,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반응을 제공한다.

2. 부하 분산

  • 클라이언트 측에서 많은 작업을 처리하므로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.
  • 웹 페이지의 동적 조작

3. 오프라인 작업

  • 클라이언트 측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  • 로컬 저장소를 활용한 데이터 저장

단점

 

1. 보안 문제

  • 클라이언트 측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민감한 정보를 노출할 위험이 있다.
  • 클라이언트 측에서 인증 정보 처리

2. 브라우저 호환성

  • 다양한 브라우저와 기기에서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.
  • 브라우저별 기능 지원 차이

3. 제한된 성능

  • 클라이언트의 하드웨어 성능에 의존하므로 복잡한 연산이나 대량의 데이터 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.
  • 복잡한 데이터 시각화

 

서버 / 클라이언트 사이드 출처

'0주차_웹 기초 이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1. HTML, JavaSript  (0) 2024.09.08
10. 상대 경로 vs 절대 경로  (0) 2024.09.08
8. URL Encoding vs URL Decoding  (0) 2024.09.08
7. 싱글쿼터 vs 더블쿼터  (0) 2024.09.08
6. 매개변수 (Parameter)  (0) 2024.09.08